LIFE

곰팡이 쉰내부터 담배 냄새까지! 여름철 에어컨 냄새 해결법 4

에어컨 켜자마자 냄새 난다면? 곰팡이 쉰내부터 담배 냄새까지 원인과 해결법 4가지를 알려드립니다.

프로필 by 박수은 2025.07.07

에어컨 틀자마자 냄새 날 때? 원인 & 해결법 4가지


1. 쉰내 (곰팡이 냄새)

2. 비린내 (젖은 걸레 냄새)

3. 기름 냄새 (음식 냄새)

4. 담배 냄새 (화학약품 냄새)


에어컨 청소

에어컨 청소

여름철 무더위에 맞서기 위해 에어컨 사용이 필수인 요즘! 하지만 필터 청소를 마쳤음에도 에어컨을 켜자마자 불쾌한 냄새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단순히 필터의 문제를 넘어 냉각핀, 배수 라인, 내부 공기질 등 다양한 요인에서 비롯될 수 있죠. 냄새의 원인을 정확히 알아야 제대로 된 해결책을 찾을 수 있습니다. 무작정 방향제를 쓰기보다, 근본 원인을 점검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효과적입니다. 쉰내, 기름 냄새, 비린내, 담배 냄새 4가지 유형별로 정확한 원인을 짚고, 효과적인 해결법을 소개합니다. 지금 바로 스크롤을 내려 확인해 보세요.


쉰내

곰팡이 냄새

곰팡이 냄새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에어컨 냄새는 곰팡이에서 비롯된 ‘쉰내’입니다. 에어컨 내부에 남은 습기가 곰팡이와 세균의 번식 환경을 제공하면서 특유의 불쾌한 냄새를 만들어내죠. 이때는 단순한 필터 청소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냉각핀 전용 세정 스프레이를 활용해 내부까지 꼼꼼히 청소한 뒤, 송풍 모드로 전환해 최소 30분 이상 충분히 건조시켜야 냄새가 줄어듭니다. 에어컨을 끄기 전 5~10분간 송풍 모드를 활용하는 습관도 곰팡이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에어컨 사용 전후로 주변 습도를 낮추는 것도 쉰내 발생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기름 냄새

기름 냄새

기름 냄새

에어컨을 켰을 때 음식 냄새가 다시 퍼지는 듯한 느낌이 든다면, 이는 실내 공기 중 기름기나 조리 중 발생한 냄새가 필터에 흡착되었다가 다시 순환되는 경우입니다. 특히 주방과 가까운 거실형 에어컨에서 자주 발생하는 악취이죠. 이럴 땐 요리 직후 환기를 철저히 해주고, 주기적으로 공기 필터를 세척 또는 교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중성 세정제를 물에 희석해 외부 커버, 필터, 송풍구 겉면 등을 닦아주면 기름기 제거와 냄새 감소에 효과적입니다. 탈취 기능이 강화된 필터를 사용하는 것도 좋으며, 에어컨을 틀기 전 가벼운 환기만으로도 냄새 순환을 줄일 수 있습니다. 기름 냄새는 필터에 축적되기 쉬우므로, 주방과 가까운 에어컨일수록 관리 주기를 짧게 가져가는 것이 좋습니다.


비린내

젖은 걸레 냄새

젖은 걸레 냄새

비린내 혹은 젖은 걸레 냄새는 주로 배수 라인 문제에서 시작됩니다. 배수 호스나 드레인, 트레이에 먼지나 이물질이 쌓여 물 빠짐이 원활하지 않으면, 고인 물에서 박테리아 세균과 곰팡이가 자라며 냄새를 유발하죠. 배수 라인 청소 시 따뜻한 물에 구연산을 녹여 부어주면, 세균 제거와 함께 냄새 완화 효과가 있습니다. 가장 좋은 해결 방법은 정기적으로 배수 라인 막힘 여부를 점검하고, 필요 시 직접 세척하거나 전문가의 클리닝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또한 실외기 주변에 곰팡이 냄새를 유발하는 물 고임 현상이 없는지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시간 외출 후 에어컨에서 유독 비린내가 강하게 날 경우, 드레인 트레이 내부 세균 번식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담배 냄새

담배 냄새

담배 냄새

흡연자가 있는 가정이나 새로 인테리어를 보수한 공간에서는 에어컨 작동 시 담배나 화학약품 냄새가 함께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 먼지 필터만으로는 이런 냄새 입자를 거르기 어렵기 때문에, 냄새가 반복된다면 필터 성능을 재점검해야 하죠. 활성탄 필터나 탈취 필터로 교체하면 냄새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 필터는 냄새 입자 흡착력이 높아, 담배 연기나 페인트, 방향제 등 휘발성 화학물질 냄새 제거에 제격이죠. 필터는 사용 환경에 따라 3~6개월 간격으로 교체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필터 청소만으론 해결되지 않는다면, 에어컨 내부 전체 클리닝을 고려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냄새 제거는 물론, 전기료 절감과 쾌적한 실내 환경 유지에도 도움이 됩니다. 흡연 공간과 인접한 에어컨일수록 탈취 필터의 사용과 정기 교체가 더욱 중요합니다. 지금 맡고 있는 그 냄새, 그냥 참지 말고 원인부터 점검해보세요. 지속적인 냄새 고민이 있다면, 필터 교체와 함께 근본적인 점검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Credit

  • Photo 언스플래쉬
  • 아이스톡

MOST LIKED ARTICLES